바람이 잔잔히 불고 뭔가 스산하고 쓸쓸할 때 “오늘 좀 을씨년스럽지 않아?”라고 많이 하시죠. 이때 을씨년스럽다는 단어에는 조금 슬픈 역사가 담겨있어요. 어떤 역사가 담겨있는지 한 번 알아볼까요?

종종 음산하고 스산한 분위기일 때 ‘을씨년스럽다’라는 말을 종종 쓰곤 하죠! 그런데 을씨년스럽다에 숨어있는 이야기가 있데요~ 한번 알아보아요

을씨년은 을사년에서 나온 말로 현재해를 세는 방법으로는 1905년을 의미해요. 1905년은 우리나라의 많은 권리를 빼앗겼던 을사조약이 있던 해로 그 당시 분위기는 아주아주 혼란스럽고 좋지 않았답니다.

을사조약 이후로 우리는 2번의 조약을 더 맺었고 더 많은 권리를 빼앗겼어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조약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본에게 조약에 사인하도록 종용받았어요.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힘이 없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그 당시는 나라가 망해가고 일본인들이 조선에 와서 통제했기 때문에 분위기가 매우 침체되고 공포스러웠어요. 그래서 을씨년스럽다는 귀신의 집같이 아주 으스스하고 음산하고 끔찍한 것이나 기간을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답니다.

그래서 을사년이 을씨년이 되고 뒤에스럽다가 붙여져서 형용사처럼 쓰이게 된 거예요

우리나라의 단어 중에는 좋은 의미와 역사가 담긴 단어도 많지만 슬픈 의미와 역사가 담긴 단어도 많답니다. 하지만 이것을 알아가는 일은 항상 흥미롭고 올바른 일인 것 같아요.